어제 완성한 1626 PP입니다.

 

 

항상 언제 나와 똑같이,

미리 배치도면을 그려봅니다.

 

 

도면을 그린 후 펀칭을 하고서 홀쏘등으로 구멍 작업을 합니다.

이 작업이 거의 6시간 걸린듯합니다.

 

 

드릴링 작업후 모습.

이번에는 알루미늄 비닐을 부착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여 지난번 보다

흠집이 덜 생긴거 같습니다.

 

 

 

부품들을 모아 봤습니다.

출력트랜스를 너무 작은 걸 사용한 거 같습니다.

57코어 사양에는 8K PP 10W (2*50mA)로 돼 있습니다.

1626 1개당 25mA이므로 충분할거라 생각했는데, 부족한 느낌이 듭니다.

기회가 되면 76코어로 변경 작업을 해 봐야 할 거 같습니다.

상판의 배치 공간이 가능할지도 모르고요...

전원트랜스는 용량을 충분히 했는데도 나중에 보니 열이 많이 나는 거 같습니다.

오디오파트 트랜스를 여러 번 사용했는데 항상 충분한 용량을 주문해도 유독 타사보다

열이 많이 나네요...헐.

지금도 계속 에이징 중이나 열이 더 올라가지는 않아 다행인거 같습니다.

 

 

 

상판 작업이 다 끝난 후 비닐을 제거했습니다.

지금까지 작업한중 가장 깨끗하게 된거 같습니다....ㅎ

 

 

나무 위에 올려놓고

상판 고정 나사못 구멍을 뚫어 봅니다.

 

 

 

파이프 커터로 볼륨 손잡이 길이를 잘라냅니다.

 

 

소켓 등을 부착합니다.

 

 

 

부품 배치도면을 그려보면서 배치도를 만들어 봅니다.

이거 그리는데도 여러 장을 그린 거 같습니다...

아래 도면 배치와 실지 배치는 약간의 차이가 생겼습니다.

 

 

 

트랜스도 장착합니다.

벌써 다 완성된 분위기입니다...

 

 

다시 뒤집어서 배선에 들어갑니다.

 

 

 

우선 골드 핀으로 만든 PCB 부터 장착합니다.

 

 

 

 

 

 

 

히터선 배선을 작업합니다.

 

 

 

 

커플링 저항 등을 부착...

원래는 전원부 부터 작업을 하여야 하나

밸런스를 생각하고 하다보니 순서가 많이 바뀌었습니다.

 

 

 

 

 

 

 

스피커 단자까지 모두 연결...

 

 

 

전원부 마지막 마무리...

 

 

다 완성 후 모습입니다.

 

 

밤늦게까지 튜닝을 조금 해보았지만,

차후 천천히 시간 내어 진공관 페어 매치와 케소드바이어스등 시그널 제너레이터와

스코프 물려서 세밀히 조정을 해봐야 할 거 같습니다.

일단 소리를 들어보니, 싱글과 큰 차이가 있지거 같지는 않습니다.

1626이 워낙 튜명한 소리가 나다 보니...

PP라서 출력이 많이 차이 날줄 알았는데 그리 큰 차이가 나지는 않는 거 같고요.

출력 트랜스가 작아서 인지...

현재 소비 전력 60W 에 출력은 대충 수치적으론 3.5W 인거 같은데

스코프로 파형 찍어보면 더 작을 거 같습니다. 조정해보면 대충 3W는 나올 거 같습니다.

오늘 퇴근 후 계속 들어볼 예정입니다.

일단은 50시간 이상 에이징 해볼 예정입니다...

 

---------------------------------------------

 

추가작업

 

출력관 바이어스 조정용으로 100오옴 25W 권선볼륨울 구입하였습니다.

페어를 맞추기 어려워 사용하려고 합니다.

 

 

볼륨 고정용 알루미늄판을 제작 페인트작업까지 완료했습니다.

 

 

아래와 같은 부품으로 만들려고합니다.

 

 

 

 

장착한 모습

볼륨이 크다보니 자리잡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오슬로스코프로 찍어보니 드라이브단에서도 신호의 차이가 약간 생겨 추후 드라이브단에도

반고정 저항을 설치 조절할까 합니다. 드라이브단은 1W짜리 가변 저항면 충분 할듯...

 

아래는 신호발생기로 소리전자에서 2만원에 구입 하였는데,

파형과 성능이 아주 좋았습니다.

 

 

오실로스코프는 가장 저렴한 30MHz로 구입 하였읍니다.

앰프 제작시에는 이걸로 충분...

 

 

 

 

 

드라이브단 P, K단 신호파형 약간 차이는 추후 가변 저항을 추가하여 조정 예정입니다.

현재 소리를 들어보니 , 음량은 많이 증가 하였으나 음질 면에서는 찰랑거리는 1626의 특유의 음색이

많이 떨어지는 느낌이 듭니다.

1626 PP 보다는 싱글로 많들고 스피커를 약 100dB 정도로 하면 아주 잘 맞을듯 합니다.

앞으로는 싱글 위주로 만들어야 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