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명창 2A3 AMP 제작에 이어, 바늘에 실 가듯 명창 LINE AMP 가 완성되었습니다.
아래 사진에서 아래에 위치한 것이 이번에 제작한 라인 앰프입니다.
위에는 지난번에 제작한 2A3 앰프고요...
기간으로 보면 이번 명창시리즈가 완성되기 까지는 약 8개월간의 기간이 걸렸습니다. (포노앰프 제외)
명창 2A3 AMP 1호기 (2013. 8.25 제작 완료), 명창 2A3 AMP 2호기 (2013. 12. 2 제작 완료)
그리고 이번 명창 LINE AMP (2014. 4. 10 제작 완료)이 완성....
이번 시리즈는 카페에서 공제한 덕분에 저렴한 가격(부품비)으로 좋은 품질의 오디오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카페 운영자님들의 수고 덕으로, 기성 제품에서는 느낄 수 없는 수공품의 앰프를 가질 수 있었습니다.
다음번 공제 때에도 계속 참여할 예정입니다.
아래 사진에서 보시듯 전면 판넬에서 장인의 예술이 느껴지지요.
이번 명창 시리즈 SRPP LINE AMP는 다음 카페(자작 진공관 앰프 라디오)에서 공제용 부품을 받고서도
완성까지는, 약 1주일이 소요된 거 같습니다.
실제 제작(땜질) 소요기간은 2일 걸렸으나 회사일 을 포함, 조정 작업으로 며칠이 더 소요되었습니다.
이번에도 카페에서 공제 하다보니,부품등 모든 재료가 한꺼번에 도착하여 작업하기가 너무 수월했습니다.
아래는 카페 운영자(보라밸리)님이 가져다주신 부품들로 나열해 봤습니다.
부품이 몇 개 빠진 거(브리지다이오드, 저항, 볼트)는 자체에서 조달하였습니다.
레이저 가공으로 제작한 스테인리스 케이스 전면과 후면 모습
그리고 비닐 제거후의 모습으로 흠집 하나 없이 깨끗한 모습입니다.
우선 라인엠프의 가장 중요부분의 하나인 전원부보드 터렛기판과 부품입니다.
이 전원부는 라인앰프와 추후에 제작될 포노앰프용 전원이 같이 들어있습니다.
보라밸리님께서 손수 만들었다는데 놀랐습니다.
우선 한대 만들려 고해도 수많은(구멍수가 세어보니 약 100개가 넘네요...헐)
반복 작업을 요하는 이 작업을, 그것도 열대를 만들다니.... (노고에 가슴이 숙연해 집니다...)
슬슬 콘덴서 부착하고...
히터 플로팅 저항등도 부착...
전원부 보드에 디커플링 콘덴서와 저항들이 부착된 상태입니다.
아래는 전원부 보드에 탑 기판으로 올라갈 진공관 회로용 Voltage Regulator 입니다.
2개로 라인용과 포노용입니다.
탑기판으로 만들기 위해 심선작업.
다음은 증폭부 기판으로 12AU7 2알이 들어갑니다.
아래 사진이 공제용으로 온 모습입니다.
개인이 만들려면 역시 수많은 시간이 소요될 거 같습니다...
부품이 장착된 전, 후면 모습
메인 샤시에 장착하기 전에 선행 작업으로 히터선(백색), B전원(주황색), 입력선(실드선)등을 미리
연결합니다.
릴레이보드로
포노전원용과 출력(1, 2) 절체용 릴레이 보드입니다.
아래는 기판을 올리기 위해 PCB용 서포트 볼트를 장착했습니다.
전면 판넬용 부품 장착후 전, 후면 모습입니다.
전면 판넬에는 포노용 릴레이를 부착 시킵니다.
후면판넬의 부품 장착 전, 후 모습입니다.
OUT 1, 2 부분 접지
OUT 1, 2 절체용 릴레이 보드 장착 모습
어느덧 전원트랜스(라인-아래, 포노-위) 와 전원부가 장작 되었습니다.
증폭부 보드도 장착
입력선 배선과 12AU7진공관까지 장착 완료...
앞쪽과 뒤쪽에서 본 모습.
추가 작업으로 라인앰프용 리플 방지용으로, B전원에 LPF를 2단 추가 하고
OUT 쪽에 47K 2개씩으로 전압 디바이더를 했습니다.
이상으로 모든 작업이 끝난 거 같습니다.
생각 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 됐습니다.(자잘한 주변 정리로...)
전체 부품장착 및 배선작업이 완료된 모습
------------------------------------------------------------------------------
아래는 필터 설치 전 전원리플 험이 커서 오슬로스코프로 측정해 봤습니다.
B전원 LPF 설치 전 리플 모습 (P-P 약 550mV)
B전원 LPF 1단 설치 후 전원리플 모습 (P-P약 80mV)
B전원 LPF 2단 설치 후 리플 모습 (P-P약 80mV)
P-P리플전압은 비슷하나 평균 리플양은 많이 줄었습니다.
그리고 소비 전력 측정해 보니 약 21W 정도가 나오네요.
아래 사진은 주요 부분 모습입니다.
입력 절체스위치와 볼륨 부분 연결 모습
출력 OUT 부분에 47k 저항 디바이더 부분
전원 필터 2단 (750옴 저항과 100uF 각 2개) 추가 설치
히터용 12V(7812) 레귤리팅 IC 방열판에 열이 많이 나서 추가로 방열판을 덧댔습니다.
공간이 협소하여 방열판 설치가 어려웠습니다. (자세가 잘 안 나옴)
이틀 현재 계속 에이징중에 있습니다.
서서히 음색이 안정되어지는 느낌이 듭니다.
음압 98dB 스피커 (젠센 210k)스피커에서는 전원험 일체 없습니다
현재 이정도 음질이면 상당히 만족스럽습니다.
추후 초단관만 바꿔도 많은 음질 향상이 있을듯합니다.
두 대(명창 세트)를 같이 놓으니 상당한 포스가 나오는거 같습니다.
음질도 외모에서 한 목하니까요...
이상으로 간단히 공제기를 마치겠습니다.
'오디오 앰프관련 > Tube Amp 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6V6 - 6C8G 싱글로 개조 (0) | 2014.05.20 |
---|---|
6V6 앰프제작 5호기 (0) | 2014.05.19 |
1626 PP 제작기 (0) | 2014.03.30 |
807 SE AMP (싱글 앰프) 제작기 (0) | 2014.03.24 |
1626 (12AX7-SRPP) 싱글 앰프 (0) | 2014.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