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카페 자작 진공관 라디오 동호회에서 이번에 공제한 2A3 SE 애칭 "명창"
판넬에 나와 있듯이 명판의 니퍼(Neeper)가 아주 귀여워 보입니다.
공제에 참여하다보니 너무 편안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을 하게 된거 같습니다.
부품 수급, 도면 배치 , 샤시 가공 등등...
이번에 카페에서 공제를 이끌어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보라밸리님, 박순봉님, 문가이버님 공제하시느라 더운 여름날씨에 고생 많으셨습니다.
소리 결은 처음 기대치 보다 더 나은 거 같습니다.
단단하고 넉넉한 저역과 부드러운 중고역 (소리를 말로 표현하려니 힘드네요...)
질리지 않고 좋은 소리가 납니다.
이번에 제작한 앰프는
개인적으로 가장 심혈을 기울여 만든거 같습니다.
정말 배선 하나 하나에도 정성을 들여가며 회로확인도 철저히 확인하고...
그래서인지 한방에 실수 없이 완성하였습니다.
제작비용은
1. 케이스. 소켓. 초단관(6C8G * 2EA). 정류관(5U4G * 1EA) . 콘덴서. 저항 외... -> 약 20만원
2. 트렌스류 : 전원. 출력. 초크 -> 14만원
3. 2A3 * 2EA 외 소켓류 추가 -> 10만원
총 비용 약 44만원 소요 되었습니다.
--------------------------------------------------------------------------------------------------
아래 사진은
공제용으로 가공되어 온 스테인리스(Hair Line) 판넬 (상판과 후면 판넬)과
아연도금강판의 일종인 전기아연도금강판(EGI, Electrolytic Galvanized Iron) 판넬(하판과 전면판넬)
입니다.
레이저로 가공되어 온 덕분에, 앰프제작에서 가장 어려운 판넬 가공은 무사히 지나갔습니다.
이번처럼 더운 여름에 판넬 가공을 한다는 생각 만해도,,,, 아찔합니다. ㅎㅎㅎ
스테인리스로 가공된 후면 판넬 - 역시 깔끔하게 가공되었네요.
전면과 하판 - 전기아연도금강판(EGI, Electrolytic Galvanized Iron)으로 제작 되었습니다.
이번 공제용으로 온 부품들을 나열해 봤습니다.
잡자재까지 꼼꼼하게 챙겨 주셨네요.
이번 공제용을 증명하는 메인 판넬 명판입니다.
너무 멋지게 가공되었습니다. 디자인은 카페의 난초님의 작품입니다.
명판 가격만 1만원입니다...
우드판넬(보라밸리님의 수공예 작품)에 명판을 부착시키니 판넬의 가치가
쭉 올라 가는거 같습니다.
정말 멋집니다.
다시 한번 근접 촬영으로...ㅎ
판넬 뒷면입니다.
명판과 아크릴판을 순간접착제로 부착 후 금핀 못으로 고정후 절단,
줄칼로 부드럽게 처리 했습니다.
부산의 박순봉 회원님께서 공제해 주신 트랜스들 입니다.
좌측부터 출력트랜스 2개, 전원트랜스, 초크 순입니다.
출력 트랜스 정말 듬~직합니다. 그래서 인지 저역이 잘 나옵니다.
전원트랜스 아래면
첫 작업으로 상판에 소켓을 부착 시켰습니다.
아래는 3mm, 4mm용 너트 드라이버 입니다. 혼자 작업시 꼭 필요한 공구입니다.
아래는 터렛(Turret)보드용 기판용 너트를 4개 부착하였습니다.
후면 판넬 작업 후 위에서 본 모습입니다.
나름 깔끔하게 보입니다...
앞 판넬 볼륨을 장착하였습니다.
앞 판넬도 부착하였으나 앞면 우드 판넬은 손상이 우려되어
최종 작업이 마무리 된 후에 부착할 예정입니다.
트랜스를 장착하고 나니 들기조차 힘드네요.
무게가 장난이 아닙니다. (저울에 달아보니 약13Kg 정도 나가네요)
잘못 들다가는 판넬 모서리부분에 손가락 부상도 염려 됩니다.
배선 작업을 하기위해 뒤집어 놓았습니다.
아직은 트랜스 선들만 보입니다.
잠시 막간을 이용하여
명판 판넬 조명용 LED를 글루건을 이용하여 부착 하였습니다.
아래 기판은 전원파트를 따로 터렛(Turret)보드로 제작한 것입니다.
보라밸리님께서 손수 설계 제작하신 보드입니다.
전 땜질만...
밑에서 본 모습입니다.
항상 그러하듯이 선들이 비딱 합니다.
그래도 그라운드 선은 굵은 선으로 했습니다.
출력관 2A3에 히터 전원을 연결.
나름 깔끔하게 한다고 한 것인데...
초단관 6C8G 히터전원도 연결
5U4G 히터선도 연결
아래 사진은 원포인트 접지를 잡기위해 동선을 S자로 부착했습니다.
모양이 우습네요...
후면 판넬 스피커 단자와 접지단자도 처리.
트랜스 접지와 고압 양파접지도 굵은 동선으로 처리했습니다.
접지 부분만 확대해 봤습니다.
땜질 실력이 없어서 선들이 바르지가 못합니다...
아래사진은 문가이버님께서 보내주신 앰프 거치대입니다.
정말 너무나 편리한 게 깜짝 놀랐습니다.
지금까지 이렇게 편하게 작업해 본적이 처음입니다.
문가이버님께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정면에서 본 모습. - 아주 안정적이고 튼튼합니다.
나중에 튜닝할 때나 보수시 정말 편리한 물건입니다.
아래 사진은 나사못 부분이 샤시에 흡집을 낼까 우려하여 마우스패드를 잘라 붙혔습니다.
칼로 자대고 잘라서 붙힐것을 가위로 했더니 보기는 안 좋네요...ㅎ.
추가로 보내준 메탈클레이드저항(1kΩ 25W)용 알루미늄 판넬을 사용하려고 부착해 보았는데
4개중 2개의 나사가 헛돌아 사용을 포기했습니다.
그냥 부착하니 비딱한 게 보기는 안 좋습니다...
AC Inlet용 접지선도 샤시에 접지.
메탈클레이드저항에 전해콘데서 (100uF 100V) 부착.
초단관용 케소드저항 및 디카플링저항용 소형 터렛보드 장착.
이것도 보라님 작품 - 너무 귀엽고 예쁩니다...
다음에 기회가 되면 이거 만드는 기술좀 전수 받아야겠습니다...ㅎ
반대편쪽 터렛보드.
2A3용 그리드 저항 좌, 우 연결 작업.
초단관용 SRPP용 저항 및 탑핀용 그리드선 부착.
탑핀용 홀에 부싱고무도 삽입. (집에 있는 작은 게 8mm용이라서 잘라 섰습니다.)
커플링콘덴서까지 부착하니 작업이 거의 끝나가네요.
아까 만들어 놓은 전원 터렛보드를 장착했습니다.
접지선은 굵은 동선으로 하고,
나머지 히터플로팅,B In, B+, B+2 전원 선을 연결합니다.
모든 선은 연결 후 다시 확인 합니다.
볼륨선과 초단관 입력선 을 연결합니다.
싸이드 샷으로 찍었더니 엄청 복잡해 보이네요...
후면 판넬을 집중해 봤습니다.
배선은 나름 노력했으나 무척 어수선해 보입니다.
이제 앞면 우드판넬하고 전원스위치 연결이 마지막 작업이네요.
하판입니다.
케이스 발용 보호패드 부착 (집에 작은 싸이즈가 있어서 그냥 부착했더니 좀 작네요...ㅎ).
배선이 완료된 모습입니다.
전원 선은 아직 정리가... (나중에 글루건으로 부착 예정)
타이작업도 안됐네요. 헐.
완성 사진입니다.
로샷으로 찍으니까
명창로고가 정말 멋집니다....
진공관 넘들이 한덩치 하네요...ㅎ
정면 샷입니다.
위에서...
측면에서도...
마치 모델사진 찍듯이 찍어봤습니다.
제가 만든 앰프중에 가장 잘 빠진거 같습니다.
(공제가 아니라면 이렇게 예쁘게는 안나왔을겁니다.)
아래는 약간 조명을 어둡게 하니, 헉...
얘도 푸른 방전 불꽃이, 너무 예쁩니다.
앰프를 만들고 나서
이틀동안 계속 들었고,
지금 이글을 쓰면서도 듣고 있습니다...
잔잔한 소리가 점점 에이징이 될수록 나아지고 있습니다.
--------------------------------------------------------------------------------------------
소비전력이 67.8W 나오네요.
--------------------------------------------------------------------------------------------------------------------------
추가작업
1. 메탈클레이드저항(1kΩ 25W) 브라켓 설치
2. 정류관과 초크코일 사이의 저항 10Ω 5W 제거
3. 커플링콘덴서 0.22uF 로 교체
메탈클레이드저항을 알루미늄 판에 올려놓고
접시머리나사로 결합
작업후 모습
샤시에 부착
디커플링 콘덴서도 부착
커플링콘덴서도 0.22uF 러시아제 (K40Y-9 ,개당 2,300원-파워풀사운드) 은 함유 오일콘으로 교체
정류관과 초크코일 사이에 저항을 제거후 직결 (빨강 굵은선)
교체후 전체 모습입니다.
제 취향에는 커플링 0.22uF 가 더 투명한 소리를 들려주는거 같습니다.
'오디오 앰프관련 > Tube Amp 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26 (12AX7-SRPP) 싱글 앰프 (0) | 2014.01.25 |
---|---|
2A3 싱글앰프 (名唱) 2호기 제작 (0) | 2013.12.05 |
1626 싱글앰프 ( 6SL7 - SRPP) (0) | 2013.08.05 |
6V6 싱글 4호기 (0) | 2013.06.12 |
5998 프리앰프제작 (0) | 2013.05.23 |